Transmission
Impairments
attenuation: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송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는 현상
원거리 전송을 위해 아날로그 신호는 amplifier, 디지털 신호는 repeater 사용
amplifier: 신호의 에너지를 증폭(노이즈도 함께 증폭)
repeater: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 후 1과 0의 패턴을 복구하고 새로운 신호로 다시 전송
delay distortion: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속도가 주파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며 간섭이 일어나는 현상
noise: 데이터 전송 시 원래의 전송신호에 다른 불필요한 신호가 더해져 데이터에 손상을 주는 현상
thermal noise: 전송매체의 특성에 따른 저항으로 인해 신호 전송 시 열을 발생시켜 일어나는 잡음
intermodulation noise: 하나의 동일한 전송매체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변조를 거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잡음
cross talk: 신호의 경로가 비정상적으로 결합을 하는 현상
impulse noise: 번개, 전송기의 결함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전압으로 인한 잡음
Clock Transmission
asynchronous transmission: 데이터 전송시 수신 측에서 각 데이터 비트의 경계를 인식하도록 데이터 사이에 시작과 정지 신호를 추가하는 방식
synchronous transmission: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시계 신호를 공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Guided Trnasmission
twisted pair cable: 두 개의 절연된 구리선을 서로 꼬아 만든 케이블
construction에서 사용
비용이 가장 저렴
거리, 대역폭, 데이터 전송 속도가 제한적
coaxial cable: 내부에 단일 도체가 있는 원통형 구조 케이블
텔레비전 배급, 장거리 전화에서 사용
twisted pair cable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데이터 전송률이 더 효과적, 간섭에 덜 민감
optical fiber: 가장 안쪽에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얇은 섬유 core가 있고, cladding이라는 광학적 특성을 가진 재료가 빛이 core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함. 가장 바깥층에는 강한 플라시틱인 jacket이 이들을 보호
telecommunication에서 사용
높은 대역폭을 제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 가능
얇고 가벼워 설치가 용이
신호 손실이 적어 장거리 전송 가능
전자기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신호 품질 보호
Wireless Transmission
antennas: 전파를 송수신하는 장치
terrestrial microwave: 유선 전송매체를 사용하기 어려운 지형에서 장애물을 가로질러 장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접시형 안테나를 사용. 직진하는 성질로 전송 시 높은 구조물과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음.
satellite microwave: 인공위성을 띄워 놓고 지상의 여러 송수신국을 통해 양방향 전송을 하는 장치. 지상에서 위성으로는 uplink(6GHz), 위성에서 지상으로는 downlink(4GHz)를 통해 데이터 전송. 높은 비용과 신호 지연.
broadcast radio: AM(Amplitude Modulation), FM(Frequency Modulation)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기술.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
infrared: 적외선 파장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장애물에 민감하고 직선 경로를 요구하므로 가까운 거리에서 효율적.
Last updated